공급의 탄력성(Elasticity of supply)
재화나 용역의 공급 수량이 가격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 수량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공급탄력성 = (공급수량의 %변화) / (가격의 %변화)
공급 탄력성이 1보다 크면 공급이 탄력적이라고 하는데, 이는 공급되는 물량이 가격 변동에 크게 반응한다는 의미다.
공급곡선의 기울기 : 완만하다
이에 따른 공급 탄력성이 1 미만이면 공급이 비탄력적이라고 하는데, 이는 공급되는 물량이 가격 변동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공급곡선의 기울기 : 가파르다
이에 따른 공급 탄력성이 정확히 1이면 공급은 단위 탄력성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격 변화에 비례해 공급되는 물량이 변화한다는 의미다.
공급곡선의 기울기 : 가파름~완만

예를 들어 설명해 본다면
한 회사가 개당 10달러의 가격으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제품 가격이 개당 12달러로 오르면 생산량을 1200대로 늘린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탄력성을 계산할 수 있다.
공급 탄력성 = ((1,200 - 1,000) / (12 - 10) / (10달러)
공급 탄력성 = (200 / 1,000) / (2 / 10)
공급 탄력성 = 1
공급의 탄력성이 정확히 1이기 때문에 공급은 단위 탄력성을 띠게 되는데, 이는 가격 변화에 비례해 공급되는 수량이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회사가 개당 10달러의 가격으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제품 가격이 개당 12달러로 오르면 생산량을 1500대로 늘린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을 사용
공급 탄력성 =((1,500달러 - 1,000달러) /(12달러 - 10달러)
공급 탄력성 = (500 / 1,000) / (2 / 10)
공급 탄력성 = 2.5
공급의 탄력성이 1보다 크기 때문에 공급이 탄력적이어서 가격 변동에 대한 대응력(가격변화에 따른 공급 대응력이라고 보면 된다)이 높다는 의미다.
한 회사가 개당 10달러의 가격으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제품 가격이 개당 12달러로 오르면 생산량을 1050대로 늘린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을 사용
공급 탄력성 = ((1,050 - 1,000) / (12 - 10) / (10달러)
공급 탄력성 = (50 / 1,000) / (2 / 10)
공급 탄력성 = 0.25
공급의 탄력성이 1 미만이기 때문에 공급이 탄력성이 없어 공급 물량이 가격 변동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돈버는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경제학_재화시장 (0) | 2023.04.13 |
---|---|
(22) 경제학_소비의 네트워크 외부효과 (0) | 2023.04.13 |
(19) 경제학_공급의 법칙 (0) | 2023.04.12 |
(18) 경제학_개별공급과 시장공급 (1) | 2023.04.11 |
(16) 경제학_희소성과 합리적 선택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