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경제 상식

(20) 경제학_공급의 탄력성

반응형

공급의 탄력성(Elasticity of supply)

재화나 용역의 공급 수량이 가격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측정하는 척도이다.

즉,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 수량의 민감도를 측정한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공급탄력성 = (공급수량의 %변화) / (가격의 %변화)

공급 탄력성이 1보다 크면 공급이 탄력적이라고 하는데, 이는 공급되는 물량이 가격 변동에 크게 반응한다는 의미다.

공급곡선의 기울기 : 완만하다

이에 따른 공급 탄력성이 1 미만이면 공급이 비탄력적이라고 하는데, 이는 공급되는 물량이 가격 변동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공급곡선의 기울기 : 가파르다

이에 따른 공급 탄력성이 정확히 1이면 공급은 단위 탄력성이라고 하는데, 이는 가격 변화에 비례해 공급되는 물량이 변화한다는 의미다.

공급곡선의 기울기 : 가파름~완만



예를 들어 설명해 본다면

한 회사가 개당 10달러의 가격으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제품 가격이 개당 12달러로 오르면 생산량을 1200대로 늘린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탄력성을 계산할 수 있다.

공급 탄력성 = ((1,200 - 1,000) / (12 - 10) / (10달러)
공급 탄력성 = (200 / 1,000) / (2 / 10)
공급 탄력성 = 1


공급의 탄력성이 정확히 1이기 때문에 공급은 단위 탄력성을 띠게 되는데, 이는 가격 변화에 비례해 공급되는 수량이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회사가 개당 10달러의 가격으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제품 가격이 개당 12달러로 오르면 생산량을 1500대로 늘린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을 사용

공급 탄력성 =((1,500달러 - 1,000달러) /(12달러 - 10달러)
공급 탄력성 = (500 / 1,000) / (2 / 10)
공급 탄력성 = 2.5

공급의 탄력성이 1보다 크기 때문에 공급이 탄력적이어서 가격 변동에 대한 대응력(가격변화에 따른 공급 대응력이라고 보면 된다)이 높다는 의미다.



한 회사가 개당 10달러의 가격으로 1,000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가정해 보자.

품 가격이 개당 12달러로 오르면 생산량을 1050대로 늘린다.

공급의 탄력성 공식을 사용

공급 탄력성 = ((1,050 - 1,000) / (12 - 10) / (10달러)
공급 탄력성 = (50 / 1,000) / (2 / 10)
공급 탄력성 = 0.25

공급의 탄력성이 1 미만이기 때문에 공급이 탄력성이 없어 공급 물량이 가격 변동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