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경제 상식

(23) 경제학_재화시장

반응형

재화시장(The goods market)

재화시장은 거래에 참여하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수, 재화의 동질성, 진입장벽 유무 등을 따져보고 크게 완전경쟁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독점시장 네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지금 앞서 살펴본 경제학에서의 균형은 모두 완전경쟁시장을 의미한다.

이는 시장을 통한 자원 배분의 결과(소비자잉여, 생산자잉여, 경제적 효율성)는 시장의 구조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완전경쟁시장 : 완벽한 경쟁 시장에서는 동일한 제품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많고, 단일 구매자나 판매자가 제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만큼 충분한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완벽하게 경쟁적인 시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균일하며, 품질, 특징, 가격 면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벽하게 경쟁적인 시장의 예로는 밀과 옥수수와 같은 농산물 시장이 있다. (물론 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의 얘기다.)



과점시장 : 과점 시장에서는 소수의 대기업이 시장을 장악하고 상당한 시장 지배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회사들은 생산 수준을 자의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제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점 시장에서 제품은 동질적이거나 차별화될 수 있으며, 진입 장벽이 높을 수 있다.

과점 시장의 예로는 반도체, 자동차, 청량음료, 항공사 등이 있다.



독점시장 : 독과점 시장에서, 가까운 대체품이 없는 독특한 상품의 단일 판매자가 있다.

판매자는 제품의 가격을 완전히 통제하고 생산량을 제한함으로써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독과점하기 때문에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아 잠재적 경쟁자들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미다.

독점 시장의 예로는 전기와 수도와 같은 공익 사업을 위한 시장(국가 기간 산업이 주요 시장이다.)이 있다.


시장 실패(Market failure)

자유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지 못해 차선의 결과로 이어질 때 발생한다.

외부성, 공공재, 불완전한 정보를 포함한 몇 가지 유형의 시장 실패가 있다.

외부효과는 오염이나 교육과 같이 제품의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 비용이나 편익이다.

공공재는 배제할 수 없고 경쟁할 수 없는 재화로, 일단 제공되면 가로등이나 국방 등 타인에게 제공되는 가용성을 줄이지 않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불완전한 정보는 구매자나 판매자가 제품이나 시장 상황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황을 말한다.

시장 실패의 경우, 시장 결과를 수정하고 사회적으로 최적의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그 예로는 규제, 세금, 보조금, 공공재 제공 등이 있다.


러너지수(Lerner index)

기업이 한계 비용 이상으로 제품 가격을 올릴 수 있는 능력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장 지배력의 척도이다.

제품의 가격과 제품을 생산하는 한계비용의 차이를 취한 후 이 차이를 제품의 가격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완벽하게 경쟁적인 시장에서, 기업들은 시장 지배력이 없으며, 따라서 Lerner 지수는 0이다.

완벽하게 경쟁하는 시장에서 제품의 가격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한계비용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완벽하게 경쟁적인 시장에 있는 회사들은 같은 제품을 더 낮은 가격에 판매하는 다른 회사들에게 그들의 모든 고객들을 잃지 않고는 그들의 제품의 가격을 올릴 수 없다.

그러므로, 완벽하게 경쟁적인 시장에서, Lerner 지수는 모든 기업에 0이기 때문에 시장 지배력의 유용한 척도가 아니다.

Lerner 지수는 전형적으로 기업이 제품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과점 및 독점 시장과 같은 불완전한 경쟁 시장에서 시장 지배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