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경제 상식

(11) 미시경제_생산자잉여금

반응형

생산자잉여금(producer spuring)

 생산자가 재화나 용역을 판매할 의사가 있고, 판매할 수 있는 가격과 실제 받는 가격의 차이를 가리키는

경제학의 개념이다.

재화나 용역의 실제 시장가격보다 낮은 공급곡선 위의 영역이며, 생산자잉여금은 생산자가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는

비용 이상으로 벌어들이는 추가 이익 또는 소득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생산자가 상품 한 개를 10달러에 판매할 의향이 있지만 실제 시장 가격은 15달러라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생산자잉여금은 5달러로 생산자가 기꺼이 판매하려는 가격(10달러)과 시장가격(15달러)의 차이다.

생산자잉여금은 생산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동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경제학에서 중요한 지표이다.

생산자잉여금이 높을수록 생산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할 유인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생산자 흑자를 늘리는 정책은 더 큰 생산과 경제 성장(규모의 경제˚)을 촉진할 수 있다.


생산자 흑자를 늘릴 수 있는 정책으로는 보조금, 세금 감면, 규제 완화 등이 있다.

특정 재화의 생산을 위한 정부 보조금은 생산 비용을 낮춰 생산자 잉여를 증가시켜

생산자들이 재화를 공급하는 것을 더 이익으로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금 감면은 생산 비용을 감소시켜 생산자의 이익 마진을 증가시키고

생산자 흑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세금이나 생산원가를 높이는 규제 등 생산자잉여를 줄이는 정책은 생산을 저해하고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