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 QE)
중앙은행들이 통화 공급량을 늘리고 장기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화정책 수단이다.
이는 중앙은행이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국채나 기타 금융자산을 대량 매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양적 완화 기간 동안 중앙은행은 전자적으로 새로운 돈을 만들어 은행과 다른 금융 기관으로부터
국채와 같은 금융 자산을 구입하는 데 사용한다.
때문에 자산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가격을 상승시키고 수익률이나 금리를 낮추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결과적으로 기업과 소비자의 차입비용이 감소하고, 이는 지출과 투자 증가로 이어져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할 수 있다.
단기금리 인하 등 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이 더 이상 효과를 거두지 못할 때,
통화 공급량을 늘리고 금리를 낮추는 것이 양적완화의 목표다.
예를 들어 경기 침체나 불황기에는 중앙은행이 단기 금리를 내릴 수 있지만
이미 금리가 0에 가까우면 더 내릴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양적 완화는 통화 공급량을 늘리고 장기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양적완화는 신중하게 관리하지 않으면 물가상승(인플레이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중앙은행은 통화 공급량을 늘림으로써 화폐 가치를 낮추고 가격을 올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중앙은행들은 물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그에 따라 정책을 조정해야 한다.
∴
중앙은행들이 통화공급을 늘리고 장기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화정책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통화 정책 도구가 비효율적이 되었을 때 사용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을 피하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돈버는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거시경제_환율 (0) | 2023.04.10 |
---|---|
(13) 미시경제_소비자 행동 (0) | 2023.04.09 |
(11) 미시경제_생산자잉여금 (0) | 2023.04.09 |
(10) 거시경제_통화정책 (0) | 2023.04.08 |
(9) 미시경제_탄력성 (0) | 2023.04.08 |